치매 예방식품 들깨 잎.
들깨 잎에 "치매 예방" 성분이 다량 함유.
농진청, 로즈마린산 로즈마리보다 7배 함유 밝혀내
![](http://senka36.wisegiga.net/~snowpeak/zy31/hurb05.jpg)
깻잎에 치매 예방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는 발표다. 농촌진흥청(이하농진청)은 국내에서 육성 재배되고 있는 잎 들깨에는 뇌세포 대사기능을 촉진해 학습능력 향상 및 기억력 감퇴를 예방하고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로즈마린산(rosmarinic acid)과 가바(GABA: γ-amino butyric acid)성분이 다량 함유 돼있다고 19일 밝혔다.
![](http://senka36.wisegiga.net/~snowpeak/zy31/hurb01.jpg)
이번에 농진청 두류유지작물과에서 들깨 잎에 들어있는 생리활성물질인 로즈마린산과 가바 성분을 분석한 결과 들깨 잎에는 항산화작용, 항염증 및 치매예방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로즈마린산 성분이 다량함유 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.
![](http://senka36.wisegiga.net/~snowpeak/zy31/hurb02.jpg)
또 성분함량은 마른잎1g당 76mg/g으로 로즈마리11mg/g 보다 약7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.
로즈마린산은 주로 박하, 스피아민트, 로즈마리와 같은 허브식물에 주로 함유돼있으며 항균, 항염증 및 항산화활성과 아울러, 최근에는 뇌신경보호로 치매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.
들깨 잎에는 뇌혈류 촉진효과 및 신경안정에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가바 성분이 함께 들어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기존에 육성된 잎 들깨 품종 중 들깨1호70mg/100g, 남천들깨 45mg/100g 등 가바 성분이 비교적 많이 함유 돼 있었다. 특히 잎 들깨1호에는 쌈 채소인 쌈 배추10mg/100g, 치커리 30mg/100g 및 상추40mg/100g에 비해 많이 함유돼 있었다.
![](http://senka36.wisegiga.net/~snowpeak/zy31/hurb04.jpg)
잎들깨는 연간 5만톤정도 생산되며 각종 쌈 채소 및 식품으로 활용되고 있고 최근 일부기업에서는 잎 들깨를 이용한 가바 함유차를 개발해 제품화를 앞두고 있다.
가바는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뇌, 척추에 존재하며 신경 억제성 전달물질로 뇌혈류 및 산소공급량을 촉진시켜 뇌세포 대사기능을 촉진해 학습능력 향상 및 기억력감퇴를 예방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 성분이다.
최근 가바 성분은 알코올중독치료, 불안감해소, 고혈압강하, 인슐린효과의 증대, 식욕증진, 우울증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.
![](http://senka36.wisegiga.net/~snowpeak/zy31/hurb03.jpg)
일본에서는 가바 성분을 소재로 다양한 기능성 식품개발이 진행 중이며 항스트레스, 긴장해소용으로 각종음료 및 제과 제품이 개발돼 판매되고 있다.
농진청 두류유지작물과 백인열과장은 “우리나라 장류문화와 함께 한 전통식품 잎들깨쌈 문화발전을 위해 들깨의 다양한 생리연구와 함께 기능성 성분이 높은 들깨품종개발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.”고 밝혔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