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«   2024/05   »
1 2 3 4
5 6 7 8 9 10 11
12 13 14 15 16 17 18
19 20 21 22 23 24 25
26 27 28 29 30 31
Tags 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복담

우리말의 어원 30 가지 본문

상식

우리말의 어원 30 가지

복담이 2013. 9. 2. 11:14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우리말의 어원 30 가지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 1.`노들강변`의 어원
   우리는 보통 `노들강변`이라고 하면

   버드나무가 휘휘 늘어진 어느 강변을 연상하지 않습니까? 

  `노들강변 봄버들 휘휘 늘어진 가지에`의 민요가 그러한 인상을 주게 하지요.

   아마도 `노들`이 `버들`을 연상시키나 봅니다.

   그래서 어느 곳이든 이러한 풍경이 있는 강변이면 `노들강변`으로 생각하기

   쉽지요.

   하지만 실제 `노들강변`은 보통명사가 아니라 고유명사입니다.

 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

  `노들강변`은 서울의 `노량진` 나루터를 말합니다.

   현재 서울의 흑석동에 있는 국립묘지 근처에 있던 나루터를 말합니다.

   여러분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왜적과 싸우시던 `울돌목`을 아시겠지요?

   이 `울돌목`은 한자어로 `명량(울명, 돌량)`이라고 하지요.

   이 `명량`의 `명`은 `울 명`자이고요. `

   량`은 원래 `돌량`입니다.

   이 `돌`은 충청도 방언에 `똘, 또랑`으로도 사용하고 있지요.

  `노량`의 `량`도 `돌량`입니다.

   그래서 `노량(이슬노, 돌량)`은 `노돌`이라고 했지요.

   그러던 것이 `노들`로 변화를 했습니다.

   그래서 `노량`이 `노들`로 변하고 거기에 `강변`이 덧붙은 것입니다.

   이 `노들강변`은

   옛날에 서울과 남쪽 지방을 잇는 중요한 나루였습니다.

   그래서 이 `노들강변`은 애환이 많이 깃든 곳입니다.

 

     2. `성냥`의 어원
   불을 켜는데 썼던 `성냥`은 마치 고유어인 것처럼 보이지만,

   원래는 한자어였습니다.

   즉

  `셕뉴황`이 음운변화를 겪어서 `성냥`이 된 것입니다.

 

     3.애국가 가사 중의 `바람서리`의 뜻
   애국가의 가사 2절 중에

  "남산위의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서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" 라는

   가사가 나옵니다.

   이 중에 `바람서리`를

   간혹 `바람소리`로 잘못 알고 계신 분도 많습니다.

   그러나 `바람서리`입니다.

   그 뜻은 `풍상`이란 뜻입니다.

   즉 `

   바람 풍, 서리 상`이지요.

   즉

  `풍상에 불변함은`이란 것인데,

   조사인 `-에`가 생략되었습니다.

 

    4.애국가 가사 중의 `남산`의 뜻
   애국가 중의 또 한 가지 `남산`의 의미를 모르는 분이 무척 많습니다.

   어느 고장을 가나 `남산`은 있습니다.

   서울의 남산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.

   이 `남산`은 `남쪽에 있는 산`으로 알고 계신 분이 많습니다.
   그러나 `남`은 한자로

   지금은 `남쪽`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,

   원래 `남`은 `앞 남`이었습니다. 

   즉 `남산`은 `앞산`이란 의미입니다. `

   앞에 있는 산`이 곧 `남산`입니다.

   그리고 `북`은 `뒤 북`이었었습니다.

   그래서 `북망산`에 간다는 것은 `뒷산`의 묘지로 가는 것을 말합니다.

 

     5.`곰보`의 어원
   마마에 걸려서 얼굴이 얽은 사람이 있지요?
   지금은 천연두가 사라져서 그런 사람을 발견할 수가 없습니다만,

   그런 분을 속칭 `곰보`라고 하는데,

   이것은 `곪다`의 `곪-`에 접미사 `-보`가 붙어서 된 말입니다.

   그래서 그 어원을 잊어 버리고 그냥 `곰보`라고 하고 있습니다.

  `곪-`의 발음이 `곰`이 되기 때문입니다.

 

 

 

     6.`숨바꼭질`의 어원
   어렸을 때 숨바꼭질을 해보지 않으신 분은 없으시겠지요?

   술래가 있어서 사람이 숨으면 그사람을 찾는 놀이지요.

   그런데, 이 `숨바꼭질`은 원래 그런 놀이가 아니었었습니다.  

   이 `숨바꼭질은 `숨 + 바꿈 + 질`에서 나왔습니다.

   이때의 `숨`은 `숨다`의 `숨-`이 아니라 `숨쉬다`의 `숨`입니다.

   숨쉬는 것을 바꾸는 일이니까 소위 자맥질을 말합니다.

   물 속에 들어가서 어린이들이 물 속으로 숨고,

   다시 숨을 쉬기 위하여 물위로 올라오곤 하는 놀이지요.

   만약에 `숨다`에서 `숨`이 나왔으면

   동사 어간에 명사가 붙는경우가 국어에는 맞지 않습니다.`

   비행기`를 `날틀`이라 해서 웃음을 산 일이 있는데,

   이것도 `날다`의 어간에 `틀`이라는 명사를 붙여서 만들었기 때문에 

   우리 국어의 구조에 맞지 않아서, 그 의도는 좋았지만,

   사용되지 않는 것입니다.

   지금도 남쪽의 방언에 `숨바꿈쟁이` 등이 남아 있습니다.

   이것은 곧 잠수부를 말합니다.

 

     7. `성가시다`의 원래 뜻
   우리가 늘 사용하는 단어 중에 `성가시다`는 말이 있지요.

  `귀찮다,괴롭다`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지만,

   원래는 `파리하다, 초췌하다`는 뜻이었습니다.

   그래서 `얼굴이 성가시다`(현대 철자법으로 고쳤습니다) 등으로

   사용되었었습니다.

   건강이 좋지 않으면 모든 것이 귀찮아지겠지요.

 

    8.`가물치`의 어원
   물고기 중에 `가물치`가 있지요?

   이 중에 `-치`는 물고기 이름을 나타내는

   접미사임은 누구나 다 아실 것입니다.

`  꽁치, 넙치, 준치, 멸치` 등등 많습니다.

   그런데 `가물`이란 무엇일까요?

   천자문을 배울 때, `하늘 천, 따 지, 가물 현` 하지요.

   물론 지금은 `검을 현`이라고도 합니다. 

  `가물`은 오늘날의 `검을`에 해당합니다.

   옛날엔 `검다`를 `감다`라고 했으니까요.
   그래서 `가물치`는 `감-+ -을 + -치`로 구성되어 있지요.

   결국 `검은 고기`란 뜻입니다.

 

     9. `어른`의 원래 뜻
  `어른`, `어린이`라고 해서

`  어른`을 `성인`으로 이해하고 있지요?

   그런데, 본디 `어른`은 `얼운`이라고 했습니다.

   이것은 `얼우다`의 어간 `얼우-`에 명사형 접미사가 붙은 말로

`  얼우다`는 `성교하다`라는 뜻을 지닌 말입니다.

   따라서 `얼운`은 `혼인한 사람`이란 뜻입니다.

   그러므로 현대국어의 `어른`은

`  혼인한 사람`만을 뜻하는 것입니다.

   그리고 `어린이`라는 말은

   소파 방정환 선생님이 처음 만든 말이라고 하지만,

   그것은 잘못 알려진 것입니다.

   옛 문헌을보면 `어린이`라는 낱말이 있습니다.

   다만 이 때는 `어리석은 사람`이란 뜻으로 쓰였다가

   소파가 `어린 사람`이란 뜻으로 부르기 시작한 것입니다.

 

     10.`귀고리`와 `귀거리`
   요즈음은 여성들이 `귀`에 `고리`를 `걸고` 다니는 것을 많이 보지요.

   그래서 곧잘 `귀고리`를 `귀`에 `거는` 것으로 인식을 해서

`  귀걸이` 또는 `귀거리`로 인식하는 분이 많습니다.

   그러나 `귀고리`는 원래 `귀`에 거는 `고리`라는 뜻입니다.

  `귀`에`거는` `골희`여서 `귀옛골희`였었다가,

   20세기에 들어서야 `귀고리` 또는 `귀골희`가 되었다가

   요즈음은 `귀고리`로 변했습니다.

   최근에 정한 표준말에서도 `귀고리`로 결정되었습니다.

   귀에 `거는` 것이 아니라 귀에 거는 `고리`라는 뜻입니다. 

   요즈음은 `귀고리`가 `고리`가 아닌 다른 모양들도 많더군요.

   그래서 아마 `귀고리`를 `귀거리`로 이해하시는 것 같군요.

 

 

 

      11. `스승`과 `화냥년`의 어원
  `스승`의 어원은

  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매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납니다.

`  무격`이란 한자어가 있지요. `

   무`는 `여자무당`을, `격`은 `남자무당`을 말합니다.

   그런데 옛 문헌을 보면 `무`를 `스승 무`

`  격`을 `화랑이 격`이라 되어 있습니다.

   결국 `스승`이란 `여자무당`을 말하던 것이었습니다. 

   그런데`여자무당`은 고대사회의 모계사회에서

   대단한 지위를 지니고 있었습니다.

   지금도 인디안 영화나 아프리카 영화를 보면

   추장보다도 더 높은 지위에 있었던 사람은 제사장입니다.

   결국 `스승`은 임금의 선생님이었습니다.

   그래서 임금님의 선생님을 한자어로는`사부`라고 하는데, `

   사`자도 `스승 사`, `부` 자도 `스승 부`입니다.

   결코 `선생 사, 선생 부`라고 하지 않습니다.

  `여자무당`이

 ` 임금의 선생님`으로 그 의미가 변화하였고,

   이것이 오늘날 일반화되어 `스승`이 되었습니다.

 

  `남자무당`인 `화랑이 격`은 오늘날

`  화냥년`이라는 못된욕을 할 때 사용하는 말로 변화했습니다. 

   이 `화랑이 격`의 `화랑`은

   신라시대의 `화랑`과 같은 것으로 보입니다.

`  남자무당`도

   고대사회에서는 중요한 귀족 중의 하나였습니다.

   신라 향가인 `처용가`에 나오는 `처용`도 `화랑`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.

   그런데

   이 남자무당은 여자무당에 비해 그 위세가 약합니다.

   오늘날의 무당의 세계도 일처다부제가 보이기도 할 정도이니까요.

   처용이 아내가 다른 남자와 동침하는 것을 보고 물러나올 수밖에 없었던 것도

   알고 보면 쉽게 이해가 가는 대목이지요.

   그래서 남자무당은 이 여자무당, 저 여자무당을 찾아다니던 것 같습니다.

   그래서 행실이 좋지 않은 사람을 `화냥이`라고 했던 것으로 보입니다.

   남자에게 쓰이던 것이 여자에게 사용된 것이지요.

   간혹 `화냥`을 `환향`, 즉 `고향으로 돌아오다`라는 의미로 해석해서,

   청나라에 끌려갔던 여인들이 몸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 왔다고 해서

   붙인 이름인 것처럼 알고 있는 분도 있으나,

   그것은 민간인들이 만들어낸 어원입니다.

 

     12.`지어미`와 `지아비`의 어원
  `지아비`와 `지어미`는

   특히 한자의 뜻과 음에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.
   즉 `부`를 `지아비 부`,

   그리고 `부`를 `지어미 부`로 알고 있는데,

   이때에 `아비, 어미`는 그 뜻을 쉽게 알 수 있지만,

  `지`의 뜻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.

   원래 `집`의 소유격형은

  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었습니다.
   그래서 15세기의 문헌에 보면 `짓아비, 짓어미`였는데

   19세기말에 와서 `짓`이 `지아비, 지어미`가 되었습니다.

   그래서, `지아비, 지어미`의 본디 뜻은 `집아비, 집어미`인 셈입니다.

 

     13. `시냇물`의 뜻
  `시냇물`의 의미를 모르시는 분은 없지만,

   그 어원을 아시는 분은 그리 많지 않으시리라 생각됩니다.

   본래 `시냇물`은

  `실`+ `내` + `물`이 합쳐져서 생긴 말입니다.

  `실`은 `곡(골 곡)`의 뜻입니다.

   아직도 고유지명에 `실`이 쓰이고 있습니다.

  `밤실` 등 무척 많습니다. 결국 골짜기란 뜻입니다.

   결국 `시냇물`은 `골짜기를 흐르는 냇물`이란 뜻입니다.

 

 


  
    14.`양이 찼다`의 `양`의 뜻
   음식을 먹은 후에 `양이 찼느냐?`고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.

   이 때의 `양`은 `질량`의 `양`,즉 한자어 `양`이 아닙니다.

   이 `양`은 순수한 우리말입니다.
  `양`은 `위장`이라고 할 때의 `위`에 해당하는 우리말입니다.

   그래서 쇠고기 중에 `곱창`도 있고,`양`도 있지요.

   그래서 `양이 찼느냐?` 하는 것은 `위가 찼느냐?`는 뜻입니다.

   즉 `배가 부르냐?`는 뜻이지요. 

   그리고 `곱창`의 `곱`은

  `기름`이란 뜻을 가진 우리말이었습니다.

  `눈곱`의 `곱`과 같은 것입니다.
  `곱창`은 `곱`+ `창자`의 `창`이랍니다.

   기름이 많은 창자이지요.

  `애`가 `창자`라는 사실은 이순신 장군의 시조에

  `나의 애를 끊나니`에서 배워, 알고 계시겠지요.

   한 가지 더 말씀 드리지요.

  `폐`는 우리말로 `부아`(옛날에는 `부하`)였습니다.

   그래서 `부아가 난다.`고 하지요.

   화가 나면 숨을 크게 들이마셔서 `허파`가 크게 불어나지요.

   그래서 `부아가 난다`는 `화가 난다`는 뜻이 되었습니다.

   우리 국어에서는

   이렇게 신체 부위를 가지고 감정을 표시하는 경우가 무척 많습니다.

   몇 예를 들어 볼까요?

   머리가 아프다. 골치가 아프다. 머리카락이 곤두선다.

   귀가 가렵다. 귀가 따갑다. 눈꼴이 시다. 

   눈물이 날 지경이다.부아가 난다. 손이 근질근질한다.

   애가 탄다.애간장을 녹인다. 입이 나온다. 

   핏대가 난다. 이 이외에도 무척 많지요.

 

    15.`결혼하다`와 `혼인하다`의 뜻 차이
   오늘날 `결혼하다`와 `혼인하다`는 동일한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.

   즉 marriage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.

   그러나 옛날에는 `결혼하다`와 `혼인하다`는 다른 뜻이었었습니다.

   즉 `혼인하다` 는 오늘날 쓰이고 있는 것과 같은 의미였지만, `

   결혼하다`는 다른 뜻이었습니다.
  `철수가 복동이와 결혼하였다`란 말을 쓸 수 있었습니다.

   이 문장의 의미는 `철수`의 자손과 `복동`의 자손이

  `혼인`할 것을 결정하였다는 뜻이었습니다.

   따라서 남자와 남자,

   그리고 여자와 여자끼리 결혼할 수 있었습니다.

   그런데 일본어에서는

  `결혼하다`가 오늘날 남녀 혼인의 뜻으로 쓰이고 있는데,

   이것이 우리 국어에 들어 온 것입니다.

   그래서 예식장에

  `결혼예식장`과 `혼인예식장`이란 명칭이 다 보이지요?
  `혼인하다`란 뜻은

  `혼`은 `신부집`을 말하고

 ``인`은 신랑집을 말한 데에 기인합니다.

   옛날에 혼인을 할 때에는

   신랑이 `혼` 즉 신부집으로 먼저 가서 예식을 올립니다.

   즉 `장가`(장인의 집)를 가지요.

   그리고 사흘 뒤에 신부를 데리고 `인`(즉 신랑집)으로 옵니다.

   즉 신부는 `시집`을 가지요.

   그래서 `장가가고 시집간다`는 말이 나온 것입니다.

 

    16.`고뿔`과 `감기`의 어원
   지금은 감기라고 하지만,

   옛날에는 모두 `고뿔`이라고 했습니다.

   이 `고뿔`은 마치 `코`에 `뿔`이 난 것처럼 생각하실지 모르지만,

   실제로 이것은 `코`에 `불`이 난 것입니다.

   즉 `코`에 열이 난다는 뜻이지요.

   이전엔 `곳블`이었습니다.

   즉 `코`를 뜻하던 옛날말인 `고`에 `불`(되었던 것인데, 

   원순모음화가 되어 `곳불`이 되고 다시 `뒤의 `불`이 된소리로되어

   (마치 `냇가`가 실제 발음으로는 `내까`가 되듯이)

   `고뿔`이 된 것입니다.

   그런데 최근에 와서

   한자어인 `감기`가 이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는데,

   이 `감기`란 한자말은

  `복덕방``사돈`, `사촌` 등처럼 우리 나라에서 만든 한자어입니다.

   혹시 일본어에서 온 것은 아닌가 하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

   그렇지 않습니다.

   일본어에서는 감기를 `풍사(바람 풍 사악할 사)`라고 하니깐요.

 

 

 

    17.`옛날 옛적 고리짝에`의 어원
   오늘날의 어린이들은 쉽게

   책과 접할 수 있어서 많은 동화책을 읽을 수 있었지만,

   연세가 좀 드신 분들은 어린 시절에 그런 동화책 대신

   우리의 전래 동화나 신화 전설 민담을

   할아버지 할머니께 듣는 것이 고작이었습니다.

   그 할머니나 할어버지의 옛날 이야기는 으례 이렇게 시작되곤 하였지요.
  `옛날 옛적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에 어떤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`
  `옛날 옛적 고리짝에 한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`
   그런데 그 할아버지 할머니들께서도 아마 `옛날 옛적 고리짝에`의

`  고리짝`의 뜻을 알고 말씀하신 분은 거의 없으시리라 생각됩니다.

 

   그냥 입에서 귀로 전래되어 와서 그냥 말씀하신 것일 뿐이지요.
  `고리짝`이 `고려 적`(고려 때)이 오랜 동안 구전되어 오면서

   그 뜻을 잃어버린 단어임을 아셨더라면,

  `옛날 옛적 고려 적에`로 말씀하셨겠지요.

   옛날 이야기는 먼저,

   지난 시기에 일어난 이야기임을 듣는 사람에게 알려야 합니다.

   그러기 위해서 조선 시대에는 그 이전의 시대,

   즉 `고려 시대`를 언급해야 했을 것입니다.

   이것은 오늘날 남아 있는 많은 고소설의 대부분이

  `조선 숙종대왕 즉위 초에` 등으로 시작하는 것을 보면

   쉽게 이해될 수 있을 것입니다.

   그래서 조선 시대에는 `옛날 옛적 고려 적에`로 시작된 것인데,

   이것이 오늘날 `옛날 옛적 고리짝에`로 변화된 것이지요.

 

     18.`거지`와 `x지`의 어원
   남에게 빌어서 얻어먹고 사는 사람이 누구일까요?
   그것은 `거지`입니다.

   이 `거지`의 어원은 무엇일까요?

   어떤 책을 보니까,

  `거지`는 `걷다`(거두어 드린다)의 `걷-`에

   사람을 나타내는 접미사인 `-이`가 붙어서 `걷이`가 되었는데,

   이것이 구개음화되어 `거지`가 되었다고 써 놓았더군요.

   하지만 이것은 우리말의 옛날 형태를 모르는 데에서 온 실수입니다.

 

   옛날 문헌을 보면

  `거지`는 `거아(아래아 자)지`로 되어 있었습니다.

   그것은

   중국어 `걸자`(빌 걸, 아들 자)의 중국어 발음을 그렇게 써 놓은 것입니다.

  `걸`에 접미사인 `자`가 연결된 단어입니다.

  `자`는 중국어의 접미사인데,

   우리말에 와서는 두 가지 음으로 읽혔습니다.

   하나는 `자`이고 또 하나는 `지`입니다.

 ` 판자`는 `판자집`일 때에는 `판자`이지만,`

   널판지`일 때에는 `판지`로 읽습니다.

`  주전자, 감자, 사자, 탁자` 등의 `자`는 `자`로 읽지만,

`  가지(식물의 하나), 간장종지, 꿀단지` 등의 `자`는 `지`로 읽습니다.

   남자와 여자 생식기의 이름인`  `-자`가 붙은 것인데

   모두 `도 결국은 한자어입니다.

 

    19. `양말`의 어원
   여러분이 신고 다니는 `양말`이

   한자에서 온 말이라고 하면 깜짝 놀라시겠지요.

  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한자어입니다.

   원래 버선을 한자로 `말`이라고 했습니다.

  `버선 말`자이지요.

   그런데 서양에서 이 버선과 비슷한 것이 들어오니까

   버선을 뜻하는 `말`에 `양` 자를 붙여서`양말`이라고  했습니다.

   버선하고 양말이 이렇게 해서 달라졌던 것입니다.

   이렇게 서양에서 들어 왔다고 해서 `양` 자를 붙이거나

  `서양`을 붙여 만든 단어들이 꽤나 있습니다.

   그 예가 무척 많음에 놀라실 것입니다.

   그래서 이제는 그 뜻도 잘 모르게 변한 것들도 많습니다.

   몇 가지를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    20.`(또는 `생철`)
   양철도 `철`에 `양` 자가 붙어서 된 말입니다.

   쇠는 쇠인데,

   원래 우리가 쓰던 쇠와는 다른 것이 들어 오니까

  `철`에 `양`자만 붙인 것이지요.

   더 재미있는 것은 이 `철`에 `서양`이 붙어서 `서양철`이 되고,

   이것이 다시 변화되어서

   오늘날에는 그냥 `생철`이라고도 하는 것입니다.

 

     21.양동이
   국어에 `동이`라고 하는 것은 물긷는 데 쓰이는 질그릇의 하나인데,

   서양에서 비슷한 것이 들어 오니까

   여기에 `양`자를 붙여 `양동이`라는 단어를 만든 것입니다.

 

      22.양순대
  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는 말인데,

   서양에서 `소시지`가 들어 오니까

  `순대`에다가 `양`자를 붙여 `양순대`라고 했는데,

   이것을 쓰지 않고 `소시지`라고 하고 있습니다.

   오늘날 되살려 쓰고 싶은 단어입니다.

   중국의 우리 동포는 이 `소시지`를 `고기순대`라고 하더군요.

   너무 잘 지은 이름이 아닌가요?

 

       23.양은
    양은은 `구리, 아연, 니켈을 합금하여 만든 쇠`인데,

    그 색깔이 `은`과 유사하니까

   `은`에 `양`자를 붙여 `양은`이라고 한 것입니다.

 

      24.양재기
  `양재기`는 원래 `서양 도자기`라는 뜻입니다.

   즉 `자기`에 `양`자가 붙어서 `양자기`가 된 것인데, 

   여기에 `아비`를 `애비`라고 하듯

  `이` 모음 역행동화가 이루어져 `양재기`가 된 것입니다.

 

 .    25.양회
   이 말도 앞의 `양순대`와 같이 거의 쓰이지 않는 말입니다만,

   제가 어렸을 때만 해도 `세멘트`를 `양회`라고 했습니다.

  `회`는 회인데 서양에서 들여 온 회라는 뜻이지요.

   이 말도 다시 썼으면 하는 생각이 듭니다.

 

      26.양행 
   이 말도 오늘날에는 쓰이지 않는 말이지요.

   서양에 다닌다는 뜻으로 `다닐 행`자를 붙인 것인데, 

   이것이 무역회사를 말하는 것입니다.

   오늘날 `유한양행`이라는 회사가 그렇게 해서 생긴 것이지요.

   이 이외에 `양`자가 붙어서 만든 단어들을 몇 가지 들어 보겠습니다.

   양복, 양장, 양궁, 양단, 양담배, 양란, 양배추,

   양버들, 양식, 양옥, 양장, 양잿물, 양주, 양초, 

   양코, 양파, 양화점 등.

 

      27.`양치질`의 어원
   여러분은 매일 아침 저녁으로 `양치질`을 하시지요?

   이`양치질`의 어원을 아시나요?

   언뜻 보아서 한자어인 줄은 짐작하시겠지요?

   그러나 혹시 `양치질`의 `양치`를

 ` 양치`(기를 양, 이 치)나 

`  양치`(어질 양, 이 치)로 알고 계시지는 않은지요?

  (간혹 `양치질`의 `치`를 `치`( 이 치)로 써 놓은 사전도 보입니다만,

   이사전은 잘못된 것입니다)

   그러나 `양치질`의 `양치`는 엉뚱하게도

  `양지질` 즉 `양지`(버드나무 가지)에 접미사인 `질`이 붙어서

   이루어진 단어라고 한다면 믿으시겠습니까?

   그러나 실제로 그렇습니다.

   고려 시대의 문헌(예컨대 {계림유사})에도

`  양지`(버들 양, 가지 지)로 나타나고

   그 이후의 한글 문헌에서도 `양지질`로 나타나고 있으니까요.

  `양지` 즉 `버드나무 가지`로

 ` 이`를 청소하는 것이 옛날에 `이`를 청소하는 방법이었습니다.

   오늘날 `이쑤시개`를 쓰듯이,

   소독이 된다 고 하는 버드나무 가지를 잘게 잘라 사용했던 것입니다. 

   그래서 `이`를 청소하는 것을 `양지질`이라고 했던 것인데,

   이에 대한 어원의 식이 점차로 희박해져 가면서

   이것을 `이`의 한자인 `치`에 연결시켜 서

 ` 양치`로 해석하여 `양치질`로 변한 것입니다.

   19세기에 와서 이러 한 변화를 겪었습니다.

 

   이 `양지`는

   일본으로 넘어가서 일본음인 `요지`로 변했습니다. `

   이 쑤시개`를 일본어로 `요지` 라고 하지 않던가요?

   아직도 우리 나라 사람들 중

`  이쑤시개`를 `요지`라고 하는 분들이 있지 않던가요?

  `양지질`이 비록 `이쑤시개`와 같은 의미로부터 나온 것이지만,

  `양 지질`과 `이쑤시개`는 원래 다른 뜻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.

   두단어 모두가 오늘날의 뜻과 동일한 것이지요.`

   양지질`에 쓰는 치약으로 는

   보통 `소금`이나 `초`를 사용하여 왔습니다. 

   이렇게 `양지질`이 `양치질`로 변화하는 현상을

   언어학에서는 보통 `민간어원설`이라고 합니다. 

   즉 민간에서 어원을 마음대로 해석해서 원래의 단어를 해석하거나,

   그 해석된 대로 그 단어를 고쳐 나가곤 합니다.

 

   이렇게 민간에서 잘못 해석한 단어는 무척 많습니다.

   여러 분들이 잘 아시는 `행주치마`가 그렇지요. 

   원래 `행주`는 `삼` 등으로 된 것으로서

   물기를 잘 빨아 들이는 천을 일컫는 단어인데,

   이것을 권율 장군의 `행주산성` 대첩과 연관시켜서,

   부녀자들이 `치마`로 돌 을 날랐기 때문에

   그 치마를 `행주치마`라고 한다는 설이 있지만,

   그것은 민간에서 만들어낸 것입니다.

   그러면 오늘날 부엌에서

   그릇 을 닦는 데 사용하는 걸레인 `행주`는 어떻게 해석할까요?

   걸레의 하나인 `행주`와 `행주치마`의 `행주`는 같은 단어입니다

.

 

 

     28.`박쥐`의 어원
  `박쥐`는

   사람들에게 그리 좋은 인상을 주지 못하는 짐승이지요.

   우선 징그럽다고 하고, 또 밤에만 나돌아 다녀서 그런지, `

   남몰래 밤에만 음흉하게 일을 하는 사람`을 욕할 때, `

   박쥐 같은 놈`이라고 하지요.

   이 `박쥐`에서 `쥐`는 그 뜻을 금방 알 수 있을 것입니다.

   그런데 여기에 왜 `박`이 붙었으며,

   또 그 `박`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아시는 분은

   그리 많지 않을 것입니다.

  `박쥐`는 원래 `밝쥐`였지요.

   아마도 `눈이 밝다`는 뜻으로 `밝-`이 쓰인 것 같습니다.

   박쥐가 초음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음을 포착하여 방향을 조정해서

   야간활동을 한다는 사실을 안 것은 훨씬 후대의 일이니까,

   그 전에는 `눈이 밝은 쥐`로 이해할 만도 하겠지요.

 

     29.`총각`의 어원
   국어에서는 남녀를 나타내는 말이

   무척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습니다.

   그 중에서 혼인할 나이가 된 성인 남녀를 지칭할 때에는

  `처녀` `총각`이란 한자어를 사용합니다.

   그 중에서 `처녀`는

   그 단어 속에 `여`가 들어 있어서 그 뜻을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지만,

   아마도 `총각`은 그 어원을 전혀 짐작하지 못하실 것입니다.

   한자인 `총`은

   지금은 `다 총` 등으로 `모두`라는 뜻을 나타내고 있지만,

   원래는 `꿰맬 총`, `상투짤 총` 등으로 쓰이던 것입니다.

  `각`은 물론 `뿔 각`이고요.

 

   중국에서나 우리 나라에서 아이들이 머리를 양쪽으로 갈라

   뿔 모양으로 동여맨 머리를 `총각`이라고 했었습니다.

   이런 머리를 한 사람은 대개가 장가가기 전의 남자였습니다.

   그래서 그러한 머리를 한 사람을 `총각`이라고 한 것이지요.

   옛날에는 어린 소년들에게도 `총각!`하고 불렀습니다.

   이것을 마치

   어린 소년을 높여서 부르는 것처럼 생각한 분은 안 계신지요?

   여기에서 `더벅머리 총각`이라는 말도 생겼지요.

   어떤 사람은 `떡거머리 총각`이라는 말도 쓰는데,

   이때의 `

   떡거머리`가 무엇을 나타내는 말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.

   어느 사전에도 `떡거머리`란 단어는 보이지 않습니다.

 

   여기에 연유해서 생긴 단어가 또 있습니다.

   그것은 `총각김치`란 말입니다.

`  총각김치`는 여러분들이 잘 아시듯,

   손가락 굵기만한 어린 무우를 무우청째로

   여러 얌념에 버무려 담은 김치를 말하는데,

   그 어린 무우가 마치

  `총각`의 머리와 같은 모습을 닮아서 생긴 단어입니다.

   그런데 처녀들은 그 `총각김치`란 단어 자체나

   또는 실제의 김치를 기피하곤 했었습니다.

   그 총각김치가 마치 총각의 생식기를 형상하는 것에서

   생긴 것으로 착각했던 것이지요.

   그러나 그런 것이 절대 아니니,

   처녀들은 이제 아무런 부끄러움 없이

   총각김치를 드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.

 

    30.`딴따라패`와 `깡패`의 어원
   요즈음 시대가 많이 바뀌어서

   연예인들을 `딴따라패`라고 하는 경우가 드물지만,

   이전에는 곧잘 `딴따라패`라고 얕잡아 부르곤 했습니다.

   언뜻 들어도 `딴따라`가

   나팔 부는 소리와 같아서 연예인들의 행동을 나타나게 되었기 때문에

   일반인들에게 빠른 속도로 번져 나갔었습니다.

   옛날의 풍각쟁이들처럼 그 행렬의 앞에서

   북치고 장구치는 사람들을 연상했을 테니까요.

 

   이 `딴따라`가

   우리 국어의 의성어에서 온 것 같지만,

   실상은 영어의 의성어에서 온 것입니다.

   영어의 `tantara`의 음을 빌려 온 것이지요.

   나팔이나 뿔나팔 등의 소리를 말합니다.

   그래서 이 소리를 빌어 와서 `딴따라`라고 하였습니다.

   어쩌면 이들을

   국어의 의성어 `딴따라`로 해석하는 사람도 있지만,

   국어에서는 `딴따라`라는 의성어는 없습니다.

   이처럼 의성어는

   언어마다 유사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

   영어에서 `flag`는 `깃발`을 뜻합니다.

   그런데 이것은 국어의 `펄럭펄럭`을 연상시키지요?

   물론 영어의 `flag`는 의성어에서 온 단어입니다.

 

   영어를 빌어 온 단어 중에서

   우리가 늘 쓰는 것중에 `깡패`란 말이 있습니다.

   폭력을 쓰면서 못된 짓을 하는 사람들을 말하지요.

   이 `깡패`에 대해서는 대체로 두 가지 어원설이 있습니다.

   하나는 

   해방 뒤에 미국 사람들이 우리나라에 들어 오게 되고,

   이들의 통조림통인 `can`에다가 한자어인 `통`을 붙인

`  깡통`을 거지들이 이용하면서,

   이들 못된 짓을 하는 `거지패`들을 `깡패`라고 했다는 설이고,

 

   또 하나는 영어의 `gang` 즉 `깽`을

   일본에서 `걍구`라고 하였는데,

   이것이 국어에 들어와서 `패거리`의 `패`를 붙여서

   이들을 `깡패`라고 하였다는 설입니다.

   제가 생각하기에는 후자가 더욱 그럴 듯합니다.

   왜냐하면 `깡으로`(억지스럽게)등의 단어가 쓰이기 때문입니다.

 

'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0월부터 시행되는 법령  (0) 2013.10.14
건망증 없애는 6가지 방법  (0) 2013.09.28
토지의 지목과 덕수궁   (0) 2013.08.26
常識이 된 外來 新用語 익히기 (옮겨옴)  (0) 2013.08.06
되새겨 볼만한 漢字상식   (0) 2013.07.15